알고리즘 문제풀이/프로그래머스
[프로그래머스/Level 2] 거리두기 확인하기 (C++)
노력의천재
2021. 8. 31. 16:28
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81302
코딩테스트 연습 - 거리두기 확인하기
[["POOOP", "OXXOX", "OPXPX", "OOXOX", "POXXP"], ["POOPX", "OXPXP", "PXXXO", "OXXXO", "OOOPP"], ["PXOPX", "OXOXP", "OXPOX", "OXXOP", "PXPOX"], ["OOOXX", "XOOOX", "OOOXX", "OXOOX", "OOOOO"], ["PXPXP", "XPXPX", "PXPXP", "XPXPX", "PXPXP"]] [1, 0, 1, 1, 1]
programmers.co.kr
카카오 기출
입력값의 크기가 최대 5로 고정 되어 있어서 BFS를 이용한 완전 탐색으로 문제를 해결했다.
문제에서 맨해튼 거리를 요구하므로, 이는 1칸씩 이동했을 때 누적한 거리와 같다.
따라서 BFS를 이용하면 현재 응시자가 다음 응시자를 만나는 최단 거리를 보장할 수 있다.
#include <string>
#include <vector>
#include <queue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struct Info {
int x, y, d; // 좌표와 현재 거리
};
vector<string> Place; // 각 대기실을 저장할 전역 벡터
vector<int> answer;
int dx[4] = {-1, 0, 1, 0};
int dy[4] = {0, -1, 0, 1};
bool BFS(int sx, int sy) {
// 방문 좌표 체크, 거리두기 가능 여부
bool visit[5][5] = {false, }, flag = true;
queue<Info> q;
q.push({ sx, sy, 0 });
visit[sx][sy] = true;
while(!q.empty()) {
int x = q.front().x;
int y = q.front().y;
int d = q.front().d;
q.pop();
for(int i = 0; i < 4; i++) {
int nx = x + dx[i];
int ny = y + dy[i];
//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
if(nx < 0 || nx >= 5 || ny < 0 || ny >= 5) continue;
// 이미 방문했거나, 파티션으로 막혀 있는 경우
if(visit[nx][ny] || Place[nx][ny] == 'X') continue;
// 응시자와 만난 경우
if(Place[nx][ny] == 'P') {
// 맨해튼 거리가 2 이하면 거리두기 실패
if(d + 1 <= 2) {
flag = false;
break;
}
}
q.push({ nx, ny, d + 1 });
visit[nx][ny] = true;
}
// 한 명이라도 거리두기를 지키지 못했으므로 BFS 탐색 바로 종료
if(!flag) break;
}
return flag;
}
vector<int> solution(vector<vector<string>> places) {
for(auto p : places) {
bool flag = true;
Place = p; // 현재 대기실을 전역 벡터에 저장
for(int i = 0; i < 5; i++) {
for(int j = 0; j < 5; j++) {
if(p[i][j] == 'P') {
if(!BFS(i, j)) {
flag = false; // 거리두기 실패
break;
}
}
}
// 한 명이라도 거리두기를 지키지 못했으므로 해당 대기실 거리두기 체크를 바로 종료
if(!flag) break;
}
// 0 : 거리두기 실패, 1 : 거리두기 성공
if(!flag) answer.push_back(0);
else answer.push_back(1);
}
return answer;
}